논어 제3편 팔일 八佾
논어(論語)의 제3편은 공자가 정치와 통치에 관한 논의를 다룬 제2편과는 달리, 음악과 예절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1.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위계씨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
공자께서 계씨에 대해 이르셨다.
팔일(八佾)의 춤을 마당에서 추니, 이것을 차마 용납한다면 무엇인들 용납하지 못하겠는가”
위(謂)는 사람에 대해 비평할 때 쓰는 말
계씨(季氏)는 당시 노나라의 실권을 쥐고 있던 삼환(三桓)의 하나인 계손(季孫)씨
팔일(八佾)은 천자의 춤
2.
三家者 以雍徹. 子曰 相維辟公 天子穆穆 奚取於三家之堂.
삼가자 이옹철. 자왈 상유벽공 천자목목 해취어삼가지당.
세 집안에서 옹의 노래를 부르며 제물을 거두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사를 돕는 제후와 천자의 단아한 모습을 어찌 세 집 묘당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삼가(三家)는 당시 노(魯)나라의 실권을 쥐고 있던 계손(季孫), 맹손(孟孫), 숙손(叔孫) 씨다.
신분에 맞지 않게 천자의 예로써 제사 지냄을 비판하는 말
3.
子曰 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
자왈 인이불인 여례하. 인이불인 여락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으로서 어질지 않다면 예는 하여 무엇하며, 사람으로서 어질지 않다면 음악은 해서 무엇하겠는가”
4.
林放 問禮之本. 子曰 大哉 問. 禮 與其奢也 寧儉 喪 與其易也寧戚.
임방 문례지본. 자왈 대재 문. 예 여기사야 영검 상 여기이야영척.
임방이 예의 근본에 해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큰 질문이다. 예는 그 사치한 것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 나으며, 장례는 그 형식을 다 갖추려고 하기보다는 차라리 슬퍼하여라
5.
子曰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자왈 이적지유군 불여저하지무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오랑캐 나라에 군주가 있는 것이 중국 없는 것보다 낫다
동이와 북방 훈에도 군왕이 있는데 춘추전국은 군주가 있어도 예약이 무너져버려 군주가 없는 것만 못하다
6.
季氏旅於泰山.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 對曰 不能. 子曰 嗚呼 曾謂泰山 不如林放乎.
계씨려어태산. 자위염유왈 여불능구여. 대왈 불능. 자왈 오호 증위태산 불여임방호.
계씨가 태산에서 여제를 지내자, 공자께서 염유에게 일러 말씀하시길 네가 말릴 수 없었느냐?
염유가 대답하기를 할 수 없었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아아! 그렇다면 저 태산의 신이 임방만 못하단 말이냐
계씨는 당시 노(魯)나라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대부 가문의 계강자
태산은 천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영험한 산인데 일개 대부인 계씨가 태산에 제사를 올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7.
子曰 君子無所爭 必也射乎. 揖讓而升下 而飮. 其爭也君子.
자왈 군자무소쟁 필야사호. 읍양이승하 이음. 기쟁야군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남과 더불어 다투지 않으나, 굳이 한다면 활쏘기이다. 그 경우에도 인사를 나누고 서로 양보하면서 당(堂)을 오르내리며, 경기가 끝난 후 승자가 패자에게 벌주(罰酒)를 권하니, 그런 다툼이 군자다운 것이다.
8.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자하문왈 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子曰 繪事後素. 曰 禮後乎. 子曰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자왈 회사후소. 왈 예후호. 자왈 기여자 상야. 시가여언시이의.
자하가 물었다. "방긋 웃는 웃음에 입맵시가 아름답고, 아름다운 눈동자에 눈매가 고우니, 흰 바탕에 고운 채색이로다. 라고 하는 데 무엇을 일컬은 말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림을 그리는 법이 먼저 흰 바탕을 만든 후에 색칠한다는 뜻이다.
자하가 물었다. 예가 나중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일깨워 주는구나, 상(商)이. 비로소 더불어 시를 말할 만하구나.
巧笑倩兮 美目盼兮는 『시경』 위풍(衛風) 석인(碩人)에 나온다. 석인은 위나라 장공(莊公)의 부인인 장강(莊姜)이 제나라에서 위나라로 시집올 때의 모습을 노래한 시
그림이 먼저 흰 바탕을 만든 후에 색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도 먼저 바탕 즉 어진 마음을 갖춘 후에, 예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
9.
子曰 夏禮 吾能言之 杞不足徵也. 자왈 하례 오능언지 기불족징야. 殷禮 吾能言之 宋不足徵也. 은례 오능언지 송불족징야.
文獻 不足故也. 足則吾能徵之矣.문헌 부족고야. 족즉오능징지의.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하나라의 예에 대하여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기 나라가 그것을 고증하기에 부족하고,
은나라의 예를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송나라가 그것을 고증하기에 부족하다.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만일 충분한 문헌이 있다면 내가 능히 고증할 수 있을 것이다.
확신할 수 없는 것, 증거를 댈 수 없는 것은 말하지 않는다.
10.
子曰 禘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자왈 체자기관이왕자 오불욕관지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체 제사에 있어 관의 의식 이후는 보고 싶지 않다
공자가 왜 이런 말을 했는지는 불분명, 원래 체가 천자에게만 허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록 주 왕실이 허락했다 하더라도 노나라에서 체 제사를 계속 지내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체 제사를 지내는 중에
어떤 불미스러운 일이 있어서 그랬는지 알 수 없다.
11.
或 問禘 之說. 子曰 不知也. 知其說者之於天下也 其如示諸斯乎. 指其掌.
혹 문체 지설. 자왈 부지야. 지기설자지어천하야 기여시저사호. 지기장.
어떤 사람이 체 제사의 뜻을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모르겠소, 그 뜻을 아는 자라면 천하의 모든 일들을 바로 이것을 보는 것 같이 잘 알 것이요.라고 하면서 자 손바닥을 가리키셨다.
노나라의 체 제사가 이미 보지 못할 지경이 되고 말았는데, 체 제사를 알아서 무엇에 쓰는가, 세상의 이치를 잘 안다면 체 제사를 그렇게 지내겠는가 하는 풍자적 의미
12.
祭如在 祭神如神在. 子曰 吾不與祭 如不祭.
제여재 제신여신재. 자왈 오불여제 여불제.
제사를 지낼 때는 조상이 함께 있듯이 하며,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는 신이 함께 있듯이 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내가 제사에 직접 참여하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과 같다.
13.
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謂也.
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 영미어조. 하위야.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
자왈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왕손가가 묻기를 깊은 방 속의 오신에게 비느니 차라리 부뚜막의 조신에 빌어라라는 말이 있는데 무슨 말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아닙니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습니다.
안방 깊숙한 곳의 높은 사람보다는 실제로 권력을 주무르는 사람에게 잘 보이는 것이 낫다는 말이다.
14.
子曰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자왈 주감어이대 욱욱호문재. 오종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주나라는 하, 은 두 나라를 거울삼았으니
그 문물제도가 찬란히 빛나는구나. 나는 주를 따르겠다.
공자는 주공에 의해 문물 제도가 완성된 주나라 초기를 정치적 이상으로 삼았다.
15.
子入大廟 每事 問. 或 曰 孰謂鄹人之子 知禮乎. 入大廟 每事 問. 子聞之.曰 是禮也.
자입태묘 매사 문. 혹 왈 숙위취인지자 지례호. 입태묘 매사 문. 자문지 왈 시례야.
공자께서 태묘에 들어가 매사를 물으시니,
어떤 사람이 말하길 누가 추인의 아들이 예를 안다고 했느냐? 태묘에 들어와서 모든 일을 묻는구나.
공자께서 그 말을 듣고 말씀하셨다. 그것이 바로 예이다.
태묘(大廟)는 노나라의 시조 주공 단을 모신 사당, 공자의 아버지라 전해지는 숙량흘(叔梁紇)이 추(鄹) 땅 출신
겸손하게 배움을 청하는 자세를 의미한다.
16.
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
자왈 사불주피 위력부동과. 고지도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활을 쏠 때 가죽을 관통하는 것을 위주로 하지 않는다.
힘을 쓰는 것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옛날의 도이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 의미(살상이 아닌 심신 수양)
17.
子貢 欲去告朔之餼羊. 子曰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자공 욕거곡삭지희양. 자왈 사야 이애기양. 아애기례.
자공이 고삭 의식에 양을 바치는 것을 없애려고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야, 너는 그 양을 아끼느냐? 나는 그 예를 아낀다.
자공은 경제에 민감한 사람으로서 유명무실한 고삭의식을 위해 양을 낭비한다고 생각하였지만
공자는 그 양마저 없어진다면 그 예마저 사라지게 될 것이며 예가 사라짐으로써, 그 예가 나타내고자 했던
본래의 목적이 잊까 염려하였다.
18.
子曰 事君盡禮人 以爲諂也.
자왈 사군진례인 이위첨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임금을 섬김에 예를 다하니 남들이 아첨한다고 하는구나!
나라에 도가 없으니 옳은 것이 그른 것으로 매도된다.
사람을 의식해서 예를 다하지 않으면 이것 또한 사람에게 아첨하는 것
19.
定公 問 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
정공 문 군사신 신사군 여지하. 공자대왈 군사신이례 신사군이충.
정공이 묻기를 임금이 신하를 부리고,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것을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임금이 신하를 부리기를 예로써 하면, 신하가 임금을 섬기기를 충성으로 한다.
윗사람이 항상 먼저 모범을 보일 것
20.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
자왈 관저 낙이불음 애이불상.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저는 즐거우면서도 지나치지 않으며, 슬프면서도 상심케 하지 않는다.
關雎(관저) / '詩經' 첫 편 제목으로, 군자가 사모하는 숙녀를 얻어서 짝으로 삼기를 바라는 노래
시의 표현이 지나치면 읽는 이의 감정의 정화를 기대할 수 없다. 공자의 시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느낄 수 있다.
21.
哀公 問社於宰我. 宰我對曰 夏后氏 以松 殷人 以柏 周人 以栗.
애공 문사어재아. 재아대왈 하후씨 이송 은인 이백 주인 이율.
曰 使民戰栗. 子聞之 曰 成事 不說 遂事 不諫 旣往 不咎.
왈 사민전율. 자문지 왈 성사 불설 수사 불간 기왕 불구.
공자께서 사(社)에 대해 재아에게 물으셨다.
재아가 대답하기를 하나라는 소나무를 썼고, 은나라는 잣나무를 썼으며, 주나라는 밤나무를 썼습니다.
말하자면 백성을 전율케 한 것입니다.
공자께서 그 말을 들으시고 말씀하시길 이미 이루어진 일이라 말하지 않겠으며,
어쩔 수 없는 일이라 탓하지 않겠으며, 지나간 일이라 꾸짖지 않겠다.
공자의 제자 재아는 하,은,주 시대의 신주(神主) 나무가 다른 이유를 애공에게 잘못 설명하고 있다.
실상은 각각 그 나라의 토질에 맞는 나무가 달랐기 때문이다. 재아는 잘 알지도 못하는 그릇된 지식으로 제후를 잘못된 길로 인도하고 있다. 공자께서는 이미 지난 일이라 어찌 할 수 없음을 탄식하시고 꾸짖으셨다. 아는 것만을 말해야 한다.
22.
子曰 管仲之器 小哉. 或.曰 管仲.儉乎. 曰 管氏有三歸 官事 不攝 焉得儉. 然則管仲 知禮乎.
자왈 관중지기 소재. 혹 왈 관중 검호. 왈 관씨유삼귀 관사 불섭 언득검. 연즉관중 지례호.
曰 邦君 樹塞門 管氏亦樹塞門. 邦君 爲兩君之好 有反? 管氏亦有反?. 管氏而知禮 孰不知禮.
왈 방군 수색문 관씨역수색문. 방군 위양군지호 유반점관씨역유반점.관씨이지례 숙불지례.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관중의 그릇이 작구나 어떤 사람이 물었다. 관중은 검소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관 씨는 부인을 세 명이나 두었고, 자기 집 관원들에게 업무를 겸임시키지 않았으니
어찌 검소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러면 관중은 예는 알고 있었나요? 묻자
임금이 되어야만 담장을 세워 문을 가리는 데, 관 씨도 담장을 세워 문을 가렸고,
한 나라의 임금만이 다른 나라 임금과 우호를 다지기 위한 연회를 위해 반점을 두는데, 관 씨도 반점을 두었다. 관 씨가 예를 안다면 누가 예를 알지 못하겠는가.
관 중(管仲)(제(齊)나라의 대부)이 참례하고 사치했음을 지적하고 있다. 공자는 헌문에서 관중의 덕과 공을
찬양하기도 한다. 이는 공자가 사람의 단면만 평가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23.
子語魯大師樂曰 樂 其可知也. 始作 翕如也 從之 純如也 ?如也 繹如也 以成.
자어노태사악왈 락 기가지야. 시작 흡여야 종지 순여야 교여야 역여야 이성.
공자께서 노나라 태사에게 음악에 대해 말씀하시길 음악은 가히 알 수 있으니, 시작할 때 흩어져있는 여러 소리가 합해져서 끝나갈수록 조화를 이루어 명료해지고 찬란해지며 이렇게 한 곡이 완성됩니다.
공자의 음악에 대한 관심과 조예를 읽을 수 있다.
24.
儀封人 請見曰 君子之至於斯也 吾未嘗不得見也. 從者見之.
의봉인 청현왈 군자지지어사야 오미상불득견야. 종자견지.
出曰 二三者 何患於喪乎. 天下之無道也 久矣 天將以夫子 爲木鐸.
출왈 이삼자 하환어상호. 천하지무도야 구의 천장이부자 위목탁.
의(儀) 지방을 지키는 관리가 뵙기를 청하며 말하길 군자가 이곳에 올 경우 내가 만나보지 않은 적이 없었습니다.
공자를 모시는 사람이 만나 뵙게 하였더니, 뵙고 나오면서 말하길 그대들은 어찌 잃는 것을 근심합니까?
천하에 도가 없어진 지 오래되어서 하늘이 장차 선생님을 목탁으로 삼을 것입니다.
공자를 만나 보고 나온 위나라 관리가 벼슬을 잃고 고국인 노나라를 떠나 낙심하고 있던 공자의 제자들에게 긍지를 가지 라고 위로한다.
25.
子謂韶 盡美矣 又盡善也. 謂武 盡美矣 未盡善也.
자위소 진미의 우진선야. 위무 진미의 미진선야.
공자께서 소에 대해 말씀하셨다.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답고 더할 나위 없이 착하다.
무에 대해 말씀하셨다.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우나, 더할 나위 없이 착하지는 못하다.
소(韶)는 순(舜)임금의 음악이고, 무(武)는 주 무왕의 음악이다.
순임금은 선양이란 평화적 방법으로 천하를 얻었고, 무왕은 정벌(征伐)로써 천하를 얻었다.
여기에서 그 차이가 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다산의 해설은 다르다.
순임금은 요임금의 뒤를 이어 태평성대를 다스리다 우임금에게 물려주었으니 처음과 끝이 다 부족함이 없어 아름답고
선한 것이다. 그러나 무왕은 천하를 얻었으나 고작 7년 만에 사망함으로써 천하는 아직 안정되지 않았고 예악도 일어나지 못다. 따라서 아름답지만 선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26.
子曰 居上不寬 爲禮不敬 臨喪不哀 吾何以觀之哉.
자왈 거상불관 위례불경 임상불애 오하이관지재.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남의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못하고, 예를 행함에 공경스럽지 못하며,
장례에 임하여 슬퍼하지 않는다면, 내가 이런 사람에게서 무엇을 볼 수 있겠는가.
아랫사람에 대해 너그러워야 하며 예를 행하는 상대를 공경하는 마음과 돌아가신 이에 대해 슬퍼하는 마음의 근본이 없는 자에게 기대할 것이 없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논어) 제7편 述而(술이) (4) | 2024.03.10 |
---|---|
論語(논어) 제 6편 雍也(옹야) (4) | 2024.03.09 |
論語(논어) 제5편 公冶長(공야장) (1) | 2024.03.04 |
論語(논어) 제4편 里仁(이인) (0) | 2024.03.02 |
논어论语 제1편 학이제일学而第一 (6)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