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9

論語(논어) 제11편 先進(선진) 論語(논어) 제11편 先進(선진) 1장 ~ 25장논어 11편은 "공자문"이라고도 불리며, 공자의 말씀을 모아놓은 부분이다. 주로 공자의 윤리 및 인간관계에 대한 가르침과 지혜가 포함되어 있다. 이 편은 공자의 사상과 더불어 중국 철학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하지만 저작의 성격상 다소 해석이 필요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1장 子曰 先進 於禮樂 野人也 後進 於禮樂 君子也 如用之則吾從先進 자왈 선진 어례락 야인야 후진 어례락 군자야 여용지칙오종선진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 선비의 예와 악은 질박하였고 후대의 선비의 예와 악은 군자답다고 하나 만일 어느 한쪽을 쓴다면 나는 옛 선비를 따를 것이다.”고 하셨다.야인은 꾸밈이 본바탕 보다 적어 소박한 것이다. 군자는 그 꾸밈이 본.. 2024. 4. 29.
論語(논어) 9편 자한(子罕) 논어 제9편 자한 子罕제9편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편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공자의 교육적인 접근과 그에 대한 제자들의 반응을 다룬 부분이다. 공자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과 지식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그의 제자들은 그 가르침에 깊이 감동받고 수용했다.이 외에도 제9편에는 공자가 여러 사안에 관해 토론하거나 자신의 견해를 밝힌 장면들이 포함되어 있다. 공자의 지혜와 인격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며, 중국 철학과 역사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귀중한 문헌 중 하나이다. 1장子罕言利 與命與仁 자한언리여명여인공자께서는 이(利)에 대해서는 좀처럼 말씀하시지 않으셨지만, 말씀하실 때는 명(命), 인(仁)과 함께 하셨다.한(罕)은 희(希)와 같은 뜻.. 2024. 3. 24.
論語(논어) 제8편 泰伯(태 백) 논어 제8편 태백 泰伯논어 제8편은 고대 성왕과 현인들의 인효의 덕과 권학의 이야기이다. 1장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자왈, 태백, 기가위지덕야이의.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삼이천하양 민무득이칭언.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태백은 지극한 덕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세 번이나 천하를 사양하였지만, 백성이 그를 칭송할 수 없도록 하였다."주나라의 태왕은 태백, 중옹, 계력 세 아들을 두었다. 이 중에서 계력의 아들 창이 천하의 주인이 될 자질을 가진 것을 보고 계력에게 왕위를 주고자 했다. 이에 태백은 중옹과 함께 남쪽의 형월(荊越)지방으로 내려가 은거함으로써 스스로 왕위를 사양했다. 공자는 태백이 왕위를 자신보다 더 현인에게 사양한 것을 두고 군자이며 덕을 가졌다고 했다. 2장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 2024. 3. 16.
論語(논어) 제2편 为政第二(위정제이) 논어 제2편 위정제이 为政第二논어(論語)의 제 2편은 공자의 정치적인 가르침과 통치 철학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이 권에서는 공자가 그의 제자들과 함께 정치적 지혜와 덕목, 통치의 기본 원리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1.子曰:“为政以德,譬如北辰,居其所而众星共之.”(자왈위정이덕 비여북신 거기소이중성공지)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덕으로써 정치를 행하는 것은 북극성이 그 자리에 머물고 모든 별이 그에게 향하는 것과 같다.”덕은 자신이 직접 개입 하지 않아도 자기 이외의 모든 사람이 마음속으로부터 심복하게 만드는 어떤 힘이다. 2.子曰:“《诗》三百,一言以蔽之,曰:‘思无邪’.”(시삼백 일언폐지 왈 사무사)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시 삼백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그 생각에 사특한 것이 없다."시 자체는 순수한 인간 감정의 표.. 2024. 3. 12.